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도커
- docker
- open(0)
- 그리디알고리즘
- 현대자동차
- code golf
- boj
- Short Coding
- spaghetti code
- 윈도우클린설치
- 우분투22.04
- 표준입력
- hmg소프티어부트캠프
- 실전sql퀵스타트
- 비트집합
- 소프티어부트캠프
- IDA*
- 데이터엔지니어
- zshrc
- 현대자동차그룹
- Python
- 대학생알고리즘특강
- ucpc
- 소프티어
- 알고리즘특강
- 데이터엔지니어링
- 에라토스테네스의채
- 파이썬
- 백준
- 피보나치수
- Today
- Total
Neo Ground
소프티어부트캠프 4기 데이터엔지니어링: 지원에서 합격까지 본문
지원
개발 분야에 썩 지식이 부족했던 나는 갱생이 필요했다.
소프티어 부트캠프를 알게 됐고, 방학 때 갱생하기에 좋은 기회라 생각되어 지원하기로 마음먹었다.
(사실 삼성 인턴이 하고 싶었지만...)
채용연계라는 혜택도 좋고, 기간도 방학에 집중돼 있어서 다른 방해받을 일도 없었다.
웹 백엔드, 웹 프론트엔드, 서비스기획, 디자인, 데이터엔지니어링
이 다섯 가지의 분야가 있었다.
웬 데이터 엔지니어링…?
웹에 대한 지식이 거의 전무한 나는 백엔드, 프론트엔드에 가면 뭔가 다른 사람들에게 찢길 것 같았다.
그리고 지원 경쟁률도 빡셀 것 같았다.
반면 데이터엔지니어링의 지원 자격에 대한 설명이 맘에 들었다. 내가 흥미 있는 분야와 일치했다.
더불어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내지 데이터애널리스트를 꿈꾸다가 석사가 거의 필수인 세상에 혐오를 느껴 방황해오던 나는 데이터엔지니어가 굉장히 매력적인 선택지로 느껴졌다.
그렇게 데이터엔지니어링 직무에 지원을 했고, 코테를 보게 되었다.
코딩테스트
코테는 아무 준비 안 하고 봤다. 취미가 백준인데 뭘 더 준비할까 싶었다.
5문제 올솔 했다.
문제 유형은 특정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나왔다.
브론즈 / 실버 / 골드(플레) / 골드 / 골드
정도의 난이도였다.
3번 문제가 (내용은 말 못하지만) 엄밀하게 가면 AST 파서를 구현했어야 하지 않나 싶다. 근데 나는 그냥 연산자 오버로딩과 eval 함수로 날먹 했다.
결과는 당연히 합격.
나중에 들어보니 2솔~2.5솔이 합격 컷인 것 같았다.
소프트웨어 지식테스트
이거는 조금 준비가 막막했다. 이런 시험도 처음이었고, 정보처리기사 같은 거 공부해 본 적도 없었다.
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이러한 분야들이 나왔다.
운영체제는 내가 들은 컴공 수업 중에서 유일하게 A 이상이 나오지 않은 과목이다.
네트워크는 안 배웠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슨 문제를 낼 지 감이 안 왔다.
데이터베이스는 과제도 안 내주는 교수님에게 들어 기억에 남은 게 SQL 쿼리 쓰는 거밖에 없다.
아키텍처…?는 뭘 물어보고자 한 거일까.
그냥 전공 복습하면서 깃허브에 정리된 CS 지식들을 찾아보았다.
최선을 다했지만, 네트워크는 전멸했고, 정확하게 기억하지 않은 프로세스 스케줄링 문제는 잘못 푼 것 같았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웬 C#의 오버라이딩을 물어보았고, 트랜잭션도 안 가르쳐준 데이터베이스 강의의 수강생은 문제를 풀며 교수님을 증오했다.
합격
2차 시험에서 절반은 맞혔을까? 근데 웬걸, 합격했더라.
아마 데엔 직무의 경쟁률이 낮기 때문이거나, 코테를 같이 평가하기 때문 아닐까 싶다. (높은 확률로 전자일 것 같다)
뭐 그래서 방학 때 바쁘게 되었다.
부트캠프에 참여하며 살아온 과정중에서 제일로 열심히 했었고, 결과도 좋았다. 이때 합격한 것에 정말로 감사하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티어부트캠프 4기 데이터엔지니어링: 수강에서 채용전환까지 (54) | 2024.10.29 |
---|---|
[Mac] Docker 빌드 완료 알림 (0) | 2024.09.01 |
2024년 상반기 삼성 SDS 대학생 알고리즘 특강 후기 (4) | 2024.02.28 |
Python Code Spaghettifier (1) | 2024.02.09 |